도커를 다운하는 것까지는 게임다운과 별 다를게 없다 버전과 운영체제에 맞게 다운하고나서 윈도우 기준으로 체크할 것
- 도커 WSL2가 다운되어 있어야한다.
- Hyper-V를 체크해야 한다.
나는 저 두가지 문제를 해결하고 나서야 도커 실행시 무한로딩에 걸리는 문제가 해결되었다.
https://www.lesstif.com/software-architect/wsl-2-windows-subsystem-for-linux-2-89555812.html
WSL 2(Windows Subsystem For Linux 2) 정식 버전 사용하기
만약 탐색기에서 \\wsl$ 로 접근시 WSL 목록이 보이지 않는다면 인스턴스가 기동되지 않아서입니다.
www.lesstif.com
도커에 회원가입 후 도커 허브를 확인, 토큰 등 발급필요 -> docker login으로 로그인할 때 토큰을 사용해야 한다.
기본적인 명령어 수행 : 리눅스용 우분투 같은 앱에서 수행
- docker rogin : 로그인하기
- sudo docker pull httpd : 해당 이미지를 받아온다. (도커허브에 올라가져있는 이미지)
- docker images : 이미지 확인하기.
- docker run httpd : 컨테이너 생성하면서 실행된다. (이름짓지 않으면 랜덤으로 지어짐)
run을 할 때 없는 이미지를 요구하면 pull, create, start를 시행한다. - docker run --name 이름 httpd : 새로운 컨테이너 생성하는데 이름을 입력한다.
- docker stop 이름 : 해당 이름의 컨테이너를 중지한다.
- docker ps : 운영중인 컨테이너를 본다.
- docker ps -a : 중단된 컨테이너까지 보여준다.
- docker start 이름 : 컨테이너를 시작한다.
- docker logs 이름 : 컨테이너의 로그를 보여준다.
- docker rm 이름 : 컨테이느를 삭제한다. (stop해야한다.)
- docker rm -f 이름 : 강제로 삭제한다 stop하지 않아도
- docker rmi httpd : 이미지를 삭제한다.
- docker run -it ubuntu:14.04 : 우분투 14.04버전 이미지가 없으면 pull하고 실행, 표준입출력 실시
- docker attach ws1 : ws1 컨테이너 내부로 들어가는 명령어이다.
기본 명령어에 추가적인 옵션들이 매우 많지만 지금 당장 필요한 명령어들은 다음과 같다.
위에있는 명령어라도 우선적으로 익히고 봐야한다.
새로 알게된 명령어들
docker container prune | 모든 컨테이너를 모두 삭제하기 |
docker stop $(docker ps -a -q) | 모든 컨테이너 스탑, rm 등 다른 명령어에 대입가능 $()는 내부 명령어 결과를 리스트로. |
docker rename A B | A이름의 컨테이너를 B로 변경한다. |
docker system prune -a -f | 도커 운영중 발생한 필요없는 것(쓰레기)를 비워줘야 할 때 |
'공부-프레임워크, 개발도구 > Dock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Dockerfile docker-compose.yml (0) | 2022.08.14 |
---|---|
도커의 원리와 컨테이너 기본 설정, 컨테이너 외부 노출 (0) | 2022.08.10 |
댓글